홍수 피해 이렇게 예방하세요! – 위기에서 생명을 지키는 행동요령 정리!
물폭탄이라는 말이 실감 날 정도로
지금 대한민국 곳곳에 비가 거세게 쏟아지고 있습니다!
큰 비로 인하여 침수, 산사태, 하천 범람 등의 재해가 일어날 가능성도 높아졌는데요~
날씨는 우리가 통제할 수 없지만,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방법은 미리 알고 실천할 수 있습니다!
오늘은 홍수 피해를 예방하는 방법과, 실제로 피해를 입었을 경우
어떻게 대처해야 하는지에 대해 정리해보았습니다!
🌧 홍수 피해를 예방하는 방법
1. 주변 배수구와 하수구 점검하기
비가 내리기 전, 집 주변이나 골목에 있는 배수구, 하수구의 이물질을 제거해
물이 잘 빠지도록 해주세요~
낙엽이나 쓰레기가 쌓여 있으면 침수 위험이 높아집니다!
2. 창문과 문틈, 하수구 역류 방지
창문이나 문틈 사이로 물이 새어 들어오지 않도록
방수테이프나 문풍지로 미리 보강해두는 것이 좋습니다!
지하주택의 경우, 하수구 역류 방지 장치를 설치하면 큰 도움이 됩니다!
3. 침수지역 또는 하천 주변 주차 피하기
장마철에는 평소 괜찮던 곳도 갑자기 물이 차오를 수 있습니다~
하천이나 저지대, 반지하 주변에는 차량을 절대 주차하지 마세요!
차량 침수는 순식간에 일어납니다!
4. 기상 정보 수시 확인
기상청 홈페이지나 ‘기상청 날씨누리’, ‘안전디딤돌’ 앱 등을 통해
실시간 날씨 정보를 체크하세요!
호우주의보나 경보가 내려졌을 때는 불필요한 외출은 삼가야 합니다!
5. 비상용품 미리 준비해두기
정전이나 단수에 대비해 손전등, 생수, 비상식량, 건전지,
응급약품, 휴대폰 보조배터리 등은 미리 준비해두면 좋습니다~
만약을 대비한 생존가방 하나쯤은 집에 두세요!
🚨 침수 시 행동요령 총정리
✅ 1. 물이 들어오기 시작했다면 – 빠르게 전기 차단!
- 가장 먼저 두꺼비집(차단기)을 내리세요.
- 젖은 손으로 만지지 말고, 마른 수건이나 절연 장갑을 사용하세요.
- 전기 감전 사고를 막기 위해 전자기기 사용 금지!
✅ 2. 집 안이 침수되고 있다면 – 고지대 대피 우선!
- 짐을 챙기기보다 사람이 먼저입니다.
- 미리 준비된 비상 가방이 있다면 들고 나가되, 무거운 짐은 포기하세요.
- 지붕이나 2층, 고지대로 신속히 이동합니다.
✅ 3. 차량이 침수될 경우 – 빠르게 탈출!
- 물 깊이가 바퀴 절반 이상 찼다면 즉시 시동을 끄고 하차하세요.
- 문이 열리지 않으면, 창문을 열거나 깨서 탈출해야 합니다.
- 자동창문이 작동하지 않으면 비상 망치나 발로 창문을 깨고 탈출합니다.
✅ 4. 외출 중 하천이나 지하도로 접근 금지!
- 하천 산책로, 지하차도, 지하상가는 물이 순식간에 차올라 매우 위험합니다.
- 침수된 도로나 하천 인근에는 절대 접근하지 마세요.
- “괜찮겠지”라는 생각은 가장 위험합니다.
✅ 5. 고립되었을 경우 – 구조 요청하기
- 핸드폰이 있다면 즉시 119 또는 112에 구조 요청을 합니다.
- 재난 문자나 지역 방송을 통해 구조 위치 안내가 나올 수 있으니 주기적으로 확인하세요.
- 흰 천이나 손전등으로 구조 신호를 보내면 구조자에게 자신을 알릴 수 있습니다.
✅ 6. 물 빠진 후에는 – 철저한 위생 관리
- 침수된 물건은 곰팡이, 세균에 오염되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 식기류, 가전제품 등은 소독 후 사용하거나 폐기하고,
- 벽지·가구 등도 곰팡이가 퍼지기 전 최대한 빨리 건조 또는 폐기하세요.
✅ 기억하세요!
👉 "전기 차단 – 고지대 대피 – 침수지역 접근 금지 – 구조 요청 – 위생 철저"
이 5단계만 기억해도 위기 상황에서
훨씬 안전하게 대처할 수 있습니다!

올해는 예년보다 강하고 예측이 어려운 양상을 보이고 있습니다~
이런 날씨일수록 ‘설마 괜찮겠지’라는 안일한 생각보다는,
‘혹시나’에 대비하는 습관이 우리 가족의 안전을 지킬 수 있습니다!
지금 당장 창밖을 바라보며 비의 양을 살펴보세요~
그리고 간단한 예방만으로도
큰 피해를 막을 수 있다는 사실, 꼭 기억해 주세요!
모두 무사히, 안전한 여름 보내시길 바랍니다!